본문으로 이동

장재영 (2002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재영
Jang Jae-Young
키움 히어로즈 No.61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2002년 6월 20일(2002-06-20)(22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8cm
체중 83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외야수
프로 입단 연도 2021년
드래프트 순위 2021년 1차 지명(키움 히어로즈)
첫 출장 KBO / 2021년 4월 6일
고척KIA전 구원 (투수)
KBO / 2024년 6월 20일
청주한화전 (타자)
ABL / 2022년 11월 12일
마지막 경기 ABL / 2022년 12월 18일
계약금 9억원
연봉 4,000만원(2024년)
경력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월드컵 U18 2019 부산
메달 기록

장재영(張裁榮, 2002년 6월 20일 (음력 5월 10일)[1]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외야수다. 그의 아버지는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외야수장정석이다.

아마추어 시절[편집]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처음 야구에 입문했을 때는 아버지의 반대가 심했다. 서울 신월중학교 2학년 때까지는 유격수였으며 3학년 때 처음으로 투수로 등판했다.[2] 당시 구속은 144km/h를 기록했다. 덕수고등학교 입학 후 5월 21일 첫 등판 경기에서 구속 151km/h를 기록하며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빠른 구속으로 인해 메이저리그 사무국에서 1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신분 조회를 요청했다.[3] 2019년 3월 7일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북일고와의 경기에서 4이닝 무피안타, 무실점, 7탈삼진을 기록하며 덕수고의 준결승 진출에 이바지했다. 이 활약으로 '최동원 선수상'을 수상했다.[4] 타자로도 고교 리그에 참가해 4월 26일까지 9타수 5안타를 기록했으며[5] 2019년 18세 이하 청소년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팀에 내야수로 발탁됐다.[6] 조별 리그 4경기에서 4번 타자, 1루수로 출장해 15타수 4안타, 3타점을 기록했다. 9월 3일 중국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구원 등판해 2.1이닝 2피안타, 1볼넷, 3탈삼진, 2실점을 기록했다.[7] 호주와의 3ㆍ4위 결정전에서는 안타를 친 후 강현우의 희생플라이 때 득점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고, 동메달을 획득했다.[8] 고등학교 3학년 때 비공식적으로 구속이 157km/h가 나왔다.[9] 미국 진출 여부를 고민한 끝에 대한민국 잔류를 결정했다.[10] 신인 드래프트 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대회 결승전에 구원 등판했으나, 3피안타 2실점으로 부진했다. 하지만 타자로서는 19타수 11안타(3홈런), 타율 0.579, 12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에 일조했고, 대회 최우수선수상을 받았다.[11]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키움 히어로즈 시절[편집]

2021년[편집]

2021년 키움 히어로즈의 1차 지명을 받아 계약금 9억 원의 조건으로 입단했다.[12] 2021년 4월 6일 KIA 타이거즈와의 홈 경기에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0.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4월 17일 kt전에서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못 잡으며 4사사구, 4실점을 기록했고[13], 4월 29일 두산전에서 0.1이닝 5볼넷, 5실점으로 부진해 다음 날 2군으로 내려갔다.[14] 1군 복귀 후 5경기 연속 무실점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나[15] 9월에 다시 제구에서 문제를 보이며 1군에서 말소됐다.[16] 시즌 19경기에 등판해 1패, 9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22년[편집]

1군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나 한 번도 등판하지 못하고 4월 15일에 2군으로 내려갔다. 홍원기 감독은 여유 있는 상황에서 던져보게 하려 했으나 계속해서 타이트한 게임이 이어져 2군에서 던질 기회를 주기 위해 엔트리에서 제외했다고 말했다.[17] 4월 28일 1군에 복귀했고 다음 날인 29일 KT 전에 6회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2이닝 동안 5삼진 무실점을 기록했으며 황재균에게 삼진을 잡을 때 패스트볼의 구속이 156km/h가 나왔다.[18] 하지만 6월 8일 경기에서 0이닝 2실점으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며 다시 2군에 내려갔다.[19] 2군에서도 34이닝 동안 39개의 볼넷을 기록하는 등 제구가 잡히지 않아 1군 복귀에는 실패했다.[9]

2023년[편집]

시즌초 제구에 여려움을 보이며 4월 19일 퓨처스 리그로 내려갔고[20], 6월 4일 복귀했다.[21] 7월 5일 고척 NC전에 선발로 등판하여 5.1이닝 무실점을 기록, 데뷔 첫 승을 선발승으로 올렸다.[22]

2024년[편집]

시즌 시작 전 팔꿈치 부상으로 개막 엔트리에 진입하지 못했고 재활훈련을 했다.[23] 재활 후 5월 1일 퓨처스리그에 첫 등판했으나 손가락이 저려 강판했다.[24] 이후 병원 검진을 받았고 내측 인대 손상이 심각하다는 소견을 받았다.[25] 부상 이후 팔꿈치 수술 대신 재활을 선택하며 타자 전향을 선언했다.[26] 타자 전향 이후 KBO 퓨처스리그에서 5월 21일에는 첫 안타를[27], 5월 24일에는 첫 홈런을 기록했다.[28] 6월 20일 청주 한화전을 앞두고 1군에 올라왔고, 9번 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며 2타수 1안타 2볼넷 1득점을 기록했다.[29] 2024년 6월 22일 고척 롯데전에서는 애런 윌커슨을 상대로 1군 데뷔 첫 홈런을 신고했다.[30]

호주 프로야구 시절[편집]

2022년 시즌 후 질롱 코리아에 파견됐다.[31] 호주에서는 투타를 겸업했다.[32] 김재영에 이어 2선발로 낙점됐다. 11월 12일 멜버른전에 선발 등판해 5이닝 2피안타, 8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호투했으나 승리 투수는 되지 못했다.[33] 11월 13일에는 박상언의 대타로 데뷔 첫 타석에 들어서 볼넷을 기록했다.[34]

통산 기록[편집]

투수[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21 키움 9.17 19 0 0 0 1 0 0 0.000 92 17⅔ 15 0 24 3 14 18 18
2022 7.71 14 0 0 0 0 0 0 - 70 14 23 2 7 1 19 12 12
2023 5.53 23 0 0 1 5 0 0 0.167 339 71⅔ 63 4 66 8 67 46 44
KBO 통산 : 3년 6.45 56 0 0 1 6 0 0 0.143 501 103⅓ 101 6 97 12 100 76 74

타자[편집]

각주[편집]

  1. “링크”. 2022년 1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일에 확인함. 
  2. 이영미 (2019년 4월 5일). “[인터뷰] ‘153km/h 쾅쾅!’, 고교생 파이어볼러 장재영 “내 꿈은 한국 최고 우완투수””. 《일요신문》.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3. 유병민 (2018년 6월 1일). “[단독] MLB, '고1 괴물' 덕수고 장재영 투수 신분 조회 요청”. 《SBS》.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4. 성일만 (2019년 3월 10일). “[2019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덕수고 장재영 ‘최동원 선수상’ 품었다”. 《파이낸셜뉴스》.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5. 이용균 (2019년 4월 26일). ““그 집안 야구 참 잘하네””. 《경향신문》.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6. 이석무 (2019년 7월 18일). “청소년 야구대표팀 명단 확정...1차 지명 6명 포함”. 《이데일리》.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7. 강산 (2019년 9월 3일). “[세계청소년야구] ‘조 1위 슈퍼라운드행’ 한국, 장재영 첫 투구 점검도 순조로웠다”. 《스포츠동아》.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8. 김희준 (2019년 9월 8일). '이주형 9회 역전 투런포' 청소년 야구, 호주 꺾고 동메달”. 《뉴시스》.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9. 배중현 (2022년 9월 26일). “1군 등록 가시밭길…'34이닝 39사사구' 장재영의 시련”. 《일간스포츠》.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0. 문영규 (2020년 6월 15일). “[단독] 고교 괴물투수 장재영, MLB 뿌리치고 국내행 선언”. 《KBS》.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1. 민기홍 (2020년 9월 1일). “[협회장기 고교야구] 명문 덕수고, 역시 장재영”. 《SPORTQ》.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2. 서장원 (2020년 12월 17일). '9억 팔' 장재영 "키움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되겠다"[일문일답]”. 《스포츠서울》. 2021년 6월 7일에 확인함. 
  13. 한동훈 (2021년 4월 17일). “차라리 퇴장이 나았나? '9억팔 난조' 구경한 키움, 언제까지 놔뒀을까”. 《스타뉴스》.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4. 신창용 (2021년 4월 30일). “프로의 쓴맛 본 키움 '9억팔' 장재영, 1군 엔트리 말소”. 《연합뉴스》.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5. 나연준 (2021년 8월 23일). “달라진 키움 장재영, 후반기 1군 합류 후 5경기 연속 무실점”. 《뉴스1》.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6. 박승환 (2021년 9월 25일). “홍원기 감독 "장재영 당분간 시간 필요"…조상우 공백은 기존 선수들로 [MD토크]”. 《마이데일리》.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7. 권혁진 (2022년 4월 15일). “키움 2년차 유망주 장재영 2군행…"많이 던지고 와". 《뉴시스》.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8. 김진성 (2022년 4월 29일). “돌아온 9억팔, 156km에 KKKKK…'ERA 0.90 마무리' 없는 지금이 기회”. 《마이데일리》.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9. 김동영 (2022년 6월 9일). '제구 난조→0이닝 2실점' 장재영 말소...홍원기 "재정비 필요, 결과는 내 책임" [백스톱]”. 《스포츠서울》.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20. 나유리 (2023년 4월 22일). “장재영 2군 내려갔는데…일요일 선발 투수는 누구지? "비밀입니다"[인천 현장]”. 《스포츠조선》. 2024년 6월 23일에 확인함. 
  21. 안희수 (2023년 6월 4일). “[IS 스타] 동점포 때린 이정후, 장재영을 향해 남긴 감사 인사”. 《일간스포츠》. 2024년 6월 23일에 확인함. 
  22. '9억 팔' 키움 장재영, 40경기 만에 프로 첫 승 - TV조선
  23. 김근한 (2024년 5월 1일). “안우진 없는데 장재영도 시즌 출발 불발? “캠프 막판 팔꿈치 부상, 선발 경쟁 한 발 물러나” [MK이천]”. 《MK스포츠》. 2024년 3월 9일에 확인함. 
  24. 한용 (2024년 5월 1일). “아, 9억팔 어쩌나...장재영, 팔꿈치 재활 등판에서 볼볼볼볼→부상으로 '자진 강판'. 《OSEN》. 2024년 6월 23일에 확인함. 
  25. ‘팔꿈치 통증→손 저림 증세’ 장재영, 수술 대신 재활 결정... 홍원기 감독 “뭔가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큰 것 같다” - OSEN
  26. 키움 장재영, 투수→타자 전향한다! 유격수-중견수 도전 - 스타뉴스
  27. 이성훈 (2024년 5월 21일). '타자로 새 출발' 장재영, 첫날부터 안타”. 《SBS》. 2024년 6월 23일에 확인함. 
  28. 김경윤 (2024년 5월 24일). '타자 전향' 키움 장재영, 2군서 프로 첫 홈런 등 4안타”. 《연합뉴스》. 2024년 6월 23일에 확인함. 
  29. 157km/h 파이어볼러 타자 전향 프로젝트, 성공 조짐 보인다…타자 데뷔전 어땠나 - SPOTV
  30. 타자 전향은 신의 한 수였나···장재영, 3G 만에 홈런까지 쳤다 - 스포츠경향
  31. 김현희 (2022년 10월 15일). “호주리그 질롱 코리아, 김도영 장재영 등 엔트리 29인 확정”. 《MHNsports》.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32. 길준영 (2022년 11월 11일). “‘2선발+투타겸업’ 9억팔 유망주 장재영이 호주에서 얻어야 하는 것은?”. 《OSEN》.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33. 김경학 (2022년 11월 13일). “장재영, 5이닝 무실점…호주 리그 시즌 첫 등판에서 산뜻한 출발”. 《스포츠경향》.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34. 조형래 (2022년 11월 13일). “송찬의 3G 연속포 & 장재영 대타 볼넷...질롱코리아, 3-6 완패 '2연패'. 《OSEN》. 2022년 11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