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
中國人民解放軍海軍陸戰隊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의 비장(徽章)
활동 기간1953년~현재
국가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소속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병과해군육전대
역할
규모4만명[1]
약 5만5천명 (2023년 기준)[2]
명령 체계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본부광둥성 차오저우시
별칭火藍刀鋒
표어陆地猛虎,海上蛟龙
       하양, 네이비 블루
군가海軍陸戰隊之歌→해군육전대의 노래
참전제2차 국공 내전 중국-베트남 국경 분쟁 해양방패 작전
기념일3월 18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중국어 간체자: 中國人民解放軍海軍陸戰隊, 병음: Zhōngguó Rénmín Jiěfàngjūn Hǎijūnlùzhànduì, 영어: People's Liberation Army Navy Marine Corps (PLANMC)/People's Liberation Army Marine Corps (PLAMC))의 중화 인민해방군에서 상륙전이 가능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육전대이다.

2015년 중화인민공화국 군사 개혁(중국어판) 계획을 거친뒤, 1개 육군 집단군에 가까운, 6개 정규 상륙전투여단과 1개 특종여단, 독립항공병여단을 갖추고 있다.

역사[편집]

1952년 5월, 육군 제85사단이 포병연대를 빼고 수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해군으로 넘겨졌다. 중국 대륙 남동부의 해안을 방어하고 어선 호위 및 어업을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1953년 3월 18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해군육전대를 정식으로 창설하고, 같은 날을 해군육전대의 공식기념일로 지정하였다.

1953년 7월 15일, 사단의 제253연대 산하 1개 대대가 둥산섬 전역에 참전하여 중화민국 국군과 격돌하였다.

1954년 12월 9일에 수병사단을 본격적으로 타이완섬으로의 상륙전이 가능한 해군육전사단으로 개편하였다.

1957년 1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해군육전사단과 변방 제14연대(邊防14團)를 병합하여 수비 제11사단으로서 육군으로 복군시켰다.

조직 구조[편집]

사령부[편집]

  • 참모부
  • 정치작전부
  • 군수(保障, 보장)부
  • 장비부
  • 기율검사위원회

직속부대[편집]

자오롱(교룡)돌격대의 비장

전구 소속 부대[편집]

전구와 함대별로 2개 여단이 배정되어 있다.

육군여단[편집]

중국 인민해방군은 추가적인 상륙전 전력으로서 육군에 양서합성여단을 운용하고 있다.[3]

여단 편제[편집]

사진첩[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黃郁文 (2019년 10월 1일). “中共軍改後海軍陸戰隊的建構與發展” (PDF). 《海軍學術雙月刊》 (중국어 (대만)) (중화민국 국방부) 53 (5): 61–74. 2020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3일에 확인함. 
  2. “应对台海局势?解放军海军陆战队扩编50%,打造最强登陆力量?”. 《163.com》 (중국어). NetEase. 2022년 9월 15일. 2023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5일에 확인함. 
  3. Blasko, Dennis J (2022년 4월). “China Maritime Report No. 20: The PLA Army Amphibious Force” (PDF). 《CMSI China Maritime Reports》 (영어) (Newport, Rhode Island: China Maritime Studies Institute, U.S Naval War College)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