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현대위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대위아 주식회사
Hyundai Wia Corporation
형태주식회사
창립1976년 3월 29일
시장 정보한국: 011210
ISINKR7011210002
상장일2011년 2월 21일
산업 분야자동차 부품 사업, 기계사업, 방위산업
서비스그외 기타 자동차 부품 제조업
전신기아기공(주)
후신기아중공업(주)
본사 소재지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 153 (가음정동)
핵심 인물
정재욱(대표이사 사장)
제품자동차 부품, 공작기계, 방위산업
매출액6,592,242,059,310원 (2020)
영업이익
71,956,525,805원 (2020)
53,672,352,815원 (2020)
자산총액7,719,905,631,802원 (2020.12)
주요 주주현대자동차 외 특수관계인: 40.75%
국민연금: 11.11%
종업원 수
2,954명 (2020.12)
모기업현대자동차
자본금135,975,415,000원 (2020.12)
웹사이트www.hyundai-wia.com

현대위아(Hyundai WIA)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다. 자동차 부품 사업과 공작기계 사업을 핵심 부문으로 두고 있다. 매출 구성은 자동차 부품 82%, 기계 18% 가량으로 구성된다. 자동차 엔진, 부변속기, 등속조인트 등의 파워트레인 부품, 모듈(샤시모듈, 플랫폼모듈 등)을 제조한다. 공작기계산업의 수요처는 자동차, 항공기, 선박 산업으로 이들 산업의 제조업 설비 투자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역사[편집]

1976년 기아산업은 기아기공을 설립했는데, 기아기공은 공작기계와 자동차용 변속기를 생산하면서 기아산업의 주요 부품을 지원한다.[1]

2014년 9월 자동차 부품 단·주조제품 전문업체인 현대위스코와 현대메티아를 11월 1일부로 흡수 합병한다고 발표한다.[2]

연혁[편집]

  • 1976년 3월 기아기공(주) 설립
  • 1976년 5월 미국현지법인설립
  • 1990년 1월 안산반월공장 준공
  • 1993년 4월 광주공장 준공
  • 1993년 12월 국내 최초 상용차용 변속기 누계생산 100만대 돌파
  • 1994년 4월 항공기 랜딩기어 국산화 개발
  • 1996년 3월 기아중공업(주)로 사명 변경
  • 1997년 6월 공작기계 수직선반(CX-1) 한일공동 개발(일본/히타치세이키)
  • 1998년 3월 민항기 착륙장치 공동개발(프랑스/Messier-Dowty)
  • 1999년 3월 현대그룹의 계열사로 정식 편입
  • 2000년 1월 기아중공업(주)에서 위아(주)로 상호변경
  • 2004년 1월 중국 주물법인 (Jiangsu Hyundai Wia Co.ltd) 설립
  • 2005년 1월 중국 주물공장 준공, 양산
  • 2007년 4월 중국 엔진법인 공장준공, 양산개시. (산동성 일조시)
  • 2009년 3월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주) 법인설립
  • 2009년 8월 위아(주)에서 현대위아(주)로 상호변경
  • 2010년 3월 인도 현지법인 (Hyundai Wia India Private Ltd) 설립
  • 2011년 2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신규 상장
  • 2012년 창원3공장 변속기 신축공장 준공
  • 2013년 인도법인 CVJ 신축공장 준공
  • 2014년 자동차부품 일관생산체제 구축(현대위아, 현대메티아, 현대위스코 합병)
  • 2015년 터보차저 사업진출 및 양산 개시
  • 2016년 현대위아 서산공장(다목적엔진공장) 신축 및 양산 개시
  • 2018년 유럽기술지원센터 (Tech Cube) 준공
  • 2019년 1월 세계 최초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 개발

모빌리티 솔루션[편집]

IoT 및 자율 주행 기술을 접목한 로봇 기술로 주차로봇, 배송로봇 등을 개발하고 있다.[3]

2024년 6월 20일에 공개된 주차로봇은 팩토리얼 성수에 적용됐다. 팩토리얼 성수는 이지스자산운용의 로봇 친화형 오피스 빌딩이다. 고객이 업무용 차량을 이용할 때 차량을 지정된 장소로 꺼내 주거나 이용이 끝났을 때 지정된 장소에 고객이 차를 반납하면 자동으로 주차해주는 주차 로봇을 서비스한다. 주차 로봇이 상용화되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4]

이 주차 로봇은 얇고 넓은 형태의 로봇 한 쌍이 차량 하부에 들어가 바퀴를 들어 올려 이동 시킨다. 로봇의 두께는 110mm로 어떤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장착된 라이다 센서를 통해 로봇이 차량 바퀴 크기와 위치를 인식하고 들어 올릴 수 있다.[5]

로봇은 최고 초속 1.2m의 속도로 최대 2.2톤의 차량까지 자동 주차가 가능하고 전후좌우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개발돼 주차가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도 차량 이동이 가능하다. 같은 면적의 공간에 더 많은 주차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공간 활용성을 크게 높인다.

주차 로봇 도입과 함께 최대 50대의 주차 로봇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스마트 주차 관제 시스템’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주차 로봇이 최적의 경로로 운행하고 여러 대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배차할 수 있도록 돕는다.[6]


각주[편집]

  1. 미완으로 끝난 봉고·프라이드 신화 《한경비즈니스》, 2014년 7월 4일
  2. 현대車그룹 부품회사 현대위아… 현대위스코-현대메티아 흡수합병 《동아일보》, 2014년 9월 30일
  3. “유튜브 <현대위아 브랜드 필름 2024>”. 2024년 6월 18일. 2024년 6월 18일에 확인함. 
  4. "성수동엔 이제 없는 게 없군"…'주차 대신해주는 로봇' 등장 [영상]”. 2024년 6월 20일. 2024년 6월 20일에 확인함. 
  5. “유튜브 <로봇이 자동으로 주차부터 출차까지! 주차 로봇>”. 2024년 6월 20일. 2024년 6월 20일에 확인함. 
  6. 머니투데이 (2024년 6월 20일). "배달·주차 로봇이 합니다" 현대차그룹 '팩토리얼 성수'. 2024년 6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