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혈전색전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맥에 폐쇄성 혈전이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이다. 여러 개의 혈소판이 판막 입구에 부착되어 입구가 좁아지고 더 많은 혈소판과 적혈구가 모여서 응고된다. 막힌 부분의 양쪽에 움직이지 않는 혈액이 응고되면 혈전이 양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혈관 형성 장소(혈관 벽)에서 분리되어 순환 혈액으로 들어간 혈전에 의한 혈관의 급성 폐색(색전증)이다. 이러한 막힘으로 인해 혈관의 혈류가 중단되는데, 이를 혈전색전증이라고 한다.[1]

혈전색전증[2](thromboembolism)은 혈전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혈류를 통해(색전으로서) 이동하여 혈관을 막아 조직 허혈과 장기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혈전색전증은 다양한 임상 증상과 관리 전략으로 정맥계와 동맥계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4]

정맥 혈전색전증[편집]

동맥 혈전색전증[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Venous Thromboembolism - Causes and Risk Factors | NHLBI, NIH”. 2022년 9월 19일. 2023년 10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25일에 확인함. 
  2. 대한의협 필수 의학용어집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Thromboembolism&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3. Tan BK, Mainbourg S, Friggeri A, Bertoletti L, Douplat M, Dargaud Y, Grange C, Lobbes H, Provencher S, Lega JC (October 2021). “Arterial and venous thromboembolism in COVID-19: a study-level meta-analysis”. 《Thorax》 76 (10): 970–979. doi:10.1136/thoraxjnl-2020-215383. PMID 33622981. S2CID 232039896. 
  4. Donnellan E, Khorana AA (February 2017). “Cancer and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A Review”. 《Oncologist》 22 (2): 199–207. doi:10.1634/theoncologist.2016-0214. PMC 5330704. PMID 28174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