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화정시외버스터미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정시외버스터미널
공식명칭화정버스터미널
종류터미널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주소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신로260번길 74
개장1999년 6월 10일
폐지2023년 5월 31일
운영기관우리기업[1]
터미널코드115
행선지표기고양 (화정)
고속버스 운행미운행
시외버스 운행미운행
시내버스 운행미운행

화정시외버스터미널(花井市外버스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2동에 있었던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15이다. 전체 건물 연면적은 3,051m2, 대합실 면적은 356m2이다. 2019년 1월 기준 하루 평균 290명이 이용하고 11개 노선이 운행중이다.[2]

본래 고양시 승격 당시에만 해도 일산서구 일산동(당시 일산읍 일산리)에 1977년 7월 1일에 건립된 일산터미널이 운영되고 있었다.[3] 이후 1990년대고양시 지역에 일산신도시가 개발되면서 1995년 11월에 화정시외버스터미널을 착공, 1999년 6월 10일에 개장했다.[4] 하지만 화정터미널은 고양 시내 중심가의 남쪽인 화정동에 자리잡고 있어서 시설이 낡고 매우 협소하여, 일산동구 백석동 백석역 옆에 새로운 터미널인 고양종합터미널2012년 6월 18일에 개장한 후에는 고속버스 노선과 단거리 시외버스 노선을 제외한 장거리 시외버스 노선들을 전부 고양종합터미널로 이관하였다.[5][6] 이후 2016년 8월 1일고속버스 노선들의 기점이 고양종합터미널로 연장 운행을 시작하면서 화정터미널은 중간 승하차장으로 변경됐다.[7]

2014년 5월 26일 고양종합터미널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하자, 본래 고양종합터미널에서 운행하던 노선이 화정터미널에서 며칠 동안 임시 시/종착했었다. 하지만 곧 고양종합터미널 주변 도로에 임시 매표소와 가변차로로 이루어진 승강장 등을 정비하면서, 화정터미널은 다시 중간 승하차장으로 돌아왔다.

경영난으로 2023년 5월 31일에 영업을 종료했다.[8] 고양시청이 임시승강장 등을 화정터미널에 설치하지 않으면서, 고양시의 버스 터미널은 백석동 고양종합터미널로 통합됐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2018년 7월 17일 기존 (주)씨웰에서 변경.
  2. 버스터미널 현황, 경기도청, 2019년 2월 19일 작성.
  3. 현재도 일산터미널 건물은 구일산(일산동)에 남아 있지만, 시외버스 터미널의 기능은 상실하고 명성운수의 몇몇 휴차 차량용 차고지로 사용되고 있다. 1900번 등의 기종점이었으나, 현재는 이 곳에서 시종착하는 시내버스 및 직행좌석버스가 없다. 1900번도 고양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했고, 고양공영차고지 기종점 인가를 정식으로 받아 일산터미널에서 고양공영차고지로 정식 연장했다. 서울 시내버스는 7728번이 유일하게 일산터미널을 경유한다.
  4. 고양 화정 버스터미널 10일 개장(연합뉴스), 2011년 6월 30일 확인
  5. 전국 주요도시 어디든 간다 <고양신문>, 2011년 5월 3일 작성, 2011년 6월 30일 확인
  6. 고양종합버스터미널 10월 준공《경기일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 5월 8일 작성, 2011년 9월 3일 확인
  7. 고양시, 5개 노선 고속버스 고양종합터미널 출발《국제뉴스》, 2016년 7월 25일 작성
  8. 시간표 위에 붙은 폐업 안내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