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수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수한
金守漢
대한민국의 제15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대한민국 제6공화국
임기 1996년 7월 4일~1998년 5월 29일
전임 황낙주
후임 박준규

대한민국7대 국회의원
임기 1967년 7월 1일~1971년 6월 30일
지역구 전국구(7)

대한민국8대 국회의원
임기 1971년 7월 1일~1972년 10월 17일
지역구 서울 영등포구 을(8)

대한민국9대 국회의원
임기 1973년 3월 12일~1979년 3월 31일
제7차개정헌법(72.12.27)
지역구 서울 영등포구 을(9)

대한민국10대 국회의원
임기 1979년 3월 12일~1980년 10월 27일
제8차개정헌법(80.10.27)
지역구 서울 관악구(10대)

대한민국신민당 부총재
임기 1985년~1987년

대한민국12대 국회의원
임기 1985년 4월 11일~1988년 5월 29일
제9차개정헌법(88.2.15)
지역구 서울 관악구(12대)

대한민국한일친선협회중앙회 회장
임기 1993년~2017년

대한민국15대 국회의원
임기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
지역구 전국구(15)

대한민국대한민국헌정회 원로회의 의장
임기 2017년 7월~2019년 7월

신상정보
출생일 1928년 8월 20일(1928-08-20)(95세)
출생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학력 대구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법학 학사
경남대학교 정치학 명예박사
영남대학교 법학 명예박사
본관 안동(安東)[1]
부모 아버지: 김성진, 어머니: 성주 이씨
배우자 신금호
자녀 장남: 김성동
장녀: 김향
차녀: 김숙향
친인척 손위동서: 김우경
종교 개신교[2]
상훈 훈1등 욱일대수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김수한(金守漢, 1928년 8월 20일 ~ )은 대한민국고위정치가이다.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장이다. 본관안동(安東), (字)는 달가(達可), (號)는 일성(一聲)이다.

학력[편집]

명예 박사 학위[편집]

생애[편집]

1928년, 일제강점기 경상북도에서 김성진(金城鎭)과 성주 이씨 이진석(李晉錫)의 딸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경순왕(敬順王)의 재종질(再從姪)인 김선평(金宣平) 진골 귀족의 후손이다. 학생 시절에는 하인을 소유했으나 해방시켜 주었다. 1948년, 대구고등학교, 1952년, 영남대학교 법학 학사를 졸업하였다.

김영삼 대통령과 금융실명제 도입 등을 개혁했으며, 정치, 경제, 사회의 국가 체제를 정착하게 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에서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에 민주혁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이우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대중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민주당 임문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원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통합야당 민중당에 속했다가 1966년, 신한당 분당시 따라갔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신민당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진산 파동 때는 유진산계에 속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희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이충환의 혁진회에 속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희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보좌진들은 살해, 김수한 국회의원은 구금당하고 강제로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해야 했다. 그리고 정치규제를 당했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임철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통일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민주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8년까지 국가 서열 2위인 제15대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서훈하였다.

혁신계, 민주혁신당-신민당 강경파로 활동했으며, 새누리당과 한국 메인스트림 계열에서 보기 드문 사회주의 일본사회당-사회민주당으로 한일 협력에 기여를 하며 국가 체제를 앞당겼다.

경력[편집]

서훈 내역[편집]

가족 관계[편집]

관계 이름 학력 작위 및 직위
부친 김성진
모친 성주 이씨
장인 신금석
손위동서 김우경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대한민국 제6제-7대 국회의원
부인 신금호
장남 김성동 고려대학교 정치학 학사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장녀 김향 고려대학교 의학 박사
차녀 김숙향
사위 장성수
손자 김유현 프린스턴 대학교 법학 석사 로펌 RF 초대 회장

그외 것들[편집]

  • 국민성을 미개하게 여겼기에 반중우정치 체제를 추구했다. 집권 시기에 국가 통제가 시행됐다.[7]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58년 총선 4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병 민주혁신당 1,238표
3.47%
5위 낙선
1960년 총선 5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병 사회대중당 5,818표
15.03%
3위 낙선
1963년 총선 6대 국회의원 경북 대구시 동구 국민의당 7,381표
15.28%
3위 낙선
1967년 총선 7대 국회의원 전국구 신민당 3,554,224표
32.7%
전국구 16번 초선
1971년 총선 8대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 을 신민당 54,651표
72.28%
1위 재선
1973년 총선 9대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 갑 신민당 102,875표
48.57%
1위 3선
1978년 총선 10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신민당 212,061표
61.39%
1위 4선
1985년 총선 12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신한민주당 119,158표
42.97%
1위 5선
1988년 총선 13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통일민주당 31,017표
24.21%
3위 낙선
1992년 총선 14대 국회의원 서울 관악구 을 민주자유당 44,413표
30.99%
2위 낙선
1996년 총선 15대 국회의원 전국구 신한국당 6,783,730표
34.5%
전국구 6번 6선

각주[편집]

  1. 예의소승공파 27세손 한(漢) 항렬.
  2. 비서들이 밝혔다.
  3. “[KBS] 김수한 국회의장 중국 방문”. 1997년 1월 29일에 확인함. 
  4. “Former Chinese Communist Party Leader Jiang Zemin Who First Issued the Order to Harvest Organs from Falun Gong Practitioners, Dies”. 2022년 12월 14일에 확인함. 
  5. “김수한前국회의장 「한일친선공로」 日훈장 받아”. 2009년 9월 24일에 확인함. 
  6. “김수한 국회의장.이수성국무총리.김종필 총재등 골프 회동[김석진]”. 1996년 10월 20일에 확인함. 
  7. “Political Economy within Political Science in Korea: Issues and Studies”. 2000년 5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전임
황낙주
제15대 전반기 국회의장
1996년 7월 4일 ~ 1998년 5월 29일
후임
박준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