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재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재광
출생1922년 5월 21일(1922-05-21)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청주군 오창면
사망1993년 1월 3일(1993-01-03)(70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성별남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대한민국
본관안동
학력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경력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13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배우자오학순
자녀슬하 2남 2녀
종교불교
의원 선수8
정당무소속

김재광(金在光, 1922년 5월 21일~1993년 1월 3일)은 대한민국정치인이다. 제6·7·8·9·10·12·13·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13대 국회 당시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생애[편집]

1922년 5월 21일,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청주군 오창면에서 태어났다. 1941년 청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으며 건국대학교 정치대학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56년에 치러진 지방선거를 통해 초대 서울특별시의원이 되었으며 1960년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재선 서울특별시의원이 되었다. 하지만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정치 활동이 규제되었다.

1963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서울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해 40.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6대 국회의원 임기 중 한일기본조약에 반대하면서 의원직에서 사퇴했다. 이후 신민당 소속으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해 64.62%의 득표율로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서 당선되면서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8대 국회의원 임기 동안 신민당 원내총무 등의 직책을 지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서울 서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어 신민당 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제1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2·12 군사 반란으로 인해 신군부에 의해 정치활동 규제를 당하기도 했으며[1] 규제가 해금된 이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소속으로 서대문구·은평구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87년 6월, 신한민주당을 탈당했으며[2] 통일민주당에 입당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은평구 을 선거구에서 당선되면서 7선 의원 고지에 올랐다. 제13대 국회 임기 동안 국회부의장을 지냈다. 3당 합당 이후로는 민주자유당에 속했다.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국구 순번 3번으로 공천되었으며[3] 선거 결과 당선권에 들면서 8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1993년 1월 3일, 지병으로 인해 세브란스병원에서 사망했다.[4] 사망 이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5]

학력[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63년 총선 6대 국회의원 서울 서대문구 갑 민정당 24,139표
40.16%
1위 초선
1967년 총선 7대 국회의원 서울 서대문구 갑 신민당 46,529표
64.62%
1위 재선
1971년 총선 8대 국회의원 서울 서대문구 갑 신민당 52,580표
73.19%
1위 3선
1973년 총선 9대 국회의원 서울 서대문구 무소속 79,480표
31.29%
1위 4선
1978년 총선 10대 국회의원 서울 서대문구 신민당 173,243표
54.85%
1위 5선
1985년 총선 12대 국회의원 서울 서대문구·은평구 신한민주당 205,370표
48.51%
1위 6선
1988년 총선 13대 국회의원 서울 은평구 을 통일민주당 27,154표
26.13%
1위 7선
1992년 총선 14대 국회의원 전국구 민주자유당 7,923,718표
38.5%
전국구 3번 8선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전임
장성만
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제2당)
1988년 5월 30일 ~ 1990년 5월 29일
후임
조윤형
전임
노승환
제13대 후반기 국회부의장(제1당)
1990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후임
황낙주